▶ 함수란?
여러 개의 명령어를 하나의 단위로 묶어 놓은 것을 의미합니다.
예를 들어 수학에서의 함수를 보면 f(x)= 4x+5 라는 함수식이 있다면 x에 특정값을 넣으면 4와 곱해진 뒤 5를 더하는 연산을 순서대로 하는 것처럼 파이썬에서도 특정 기능을 하는 명령어를 묶어둔 것을 우리는 함수라고 부릅니다.
▶ 함수를 사용하는 이유?
함수를 만들어서 사용한다면 같은 작업을 할 때 해당 함수만 호출하면 되므로 편하게 사용할 수가 있다는 점과 프로그램을 손쉽게 수정할 수 있다는 점이 있습니다.
일상생활에 있는 예를 들어서 세탁기 기능(물넣기- 세제 넣기-세탁하기-헹구기- 탈수)을 순서대로 묶어 함수라는 것으로 만들어 두었다면 함수라는 것을 호출할 때마다 세탁기 프로그램에 있는 순서대로 세탁기가 작동한다고 볼 수 있고, 함수를 만들어 둔다면, 우리가 세제 넣기라는 것을 빼고 싶으면 쉽게 빼서 수정할 수 있다는 점이다.
▶ 파이썬 내장함수
우리가 이미 썼던 몇 가지는 이미 파이썬이 가지고 있는 내장 함수로써 외부 모듈과는 달리 import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아무 설정 없이도 바로 사용할 수 있다. - print()함수, input()함수, type()함수
▶ 파이썬의 대표적인 내장함수
함수명 |
기능 설명 |
abs |
어떤 숫자를 입력했을 때, 그 숫자의 절댓값을 반환하는 함수 |
chr |
아스키코드 값을 입력받은 후, 그 코드에 해당하는 문자를 출력하는 함수 |
input |
사용자의 키보드 입력을 받는 함수 |
int |
문자열, 숫자를 정수 형태로 만들어주는 함수 |
len |
매개변수(입력값)의 길이를 반환하는 함수 |
list |
매개변수(입력값)를 입력받아 리스트로 만들어 반환하는 함수 |
max / min |
인수로 여러 개의 자료형을 입력받은 후 최댓값(max) 또는 최솟값(min)을 반환하는 함수 |
open |
open(filename, mode) 인수로 파일 이름과 모드를 입력받아 파일 객체를 만들어서 반환하는 함수 |
|
인수의 값을 화면에 출력하는 함수 |
pow |
pow(a,b) a의 b 제곱한 결괏값을 돌려주는 함수 |
range |
range( start, stop, step) for문의 반복 범위를 지정할 때 사용하는 함수 start숫자부터 시작해서 stop-1 값까지 step값만큼씩 증가하면서 반복 -start숫자 미지정시 0부터 시작, step값 미지정시 1씩 증가 |
str |
인수를 입력받아 문자열 형태로 변환하여 반환하는 함수 |
sum |
입력받은 리스트, 튜플의 모든 요소들의 합을 반환하는 함수 |
tuple |
반복이 가능한 자료형을 입력받아 튜플의 형태로 변환하여 반환하는 함수 |
type |
인수(입력값)의 자료형이 무엇인지 반환하는 함수 |
'프로그래밍 > 파이썬 프로그래밍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파이썬기초] 파이썬(Python) 외장함수 (0) | 2020.03.13 |
---|---|
[파이썬 기초] 파이썬(Python) 함수 정의하기 (0) | 2020.03.13 |
[파이썬 기초] 파이썬(Python) 출력함수 print() (0) | 2020.03.09 |
[파이썬 기초] 파이썬(Python) 입력함수 input() (0) | 2020.03.07 |
[파이썬기초] 파이썬(Python) 변수 (0) | 2020.03.0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