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반응형

함수3

[데이터베이스] 프로시저(Procedure)와 함수의 차이 ▶ 프로시저(Procedure)란? - 특정 작업을 수행 하는, 이름이 있는 PL/SQL BLOCK 이다. - 매개 변수를 받을 수 있고, 반복적으로 사용 할 수 있는 BLOCK 이다. - 보통 연속 실행 또는 구현이 복잡한 트랜잭션을 수행하는 PL/SQL BLOCK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기 위해 생성 한다. ▶ 함수(Function)란? - 보통 값을 계산하고 결과 값을 반환하기 위해서 함수를 많이 사용 한다. - 대부분 구성이 프로시저와 유사 하지만 IN 파라미터만 사용 할 수 있다. - 반드시 반환 될 값의 데이터 타입을 RETURN문에 선언해야 한다. 또한 PL/SQL블록 내에서 RETURN문을 통해서 반드시 값을 반환해야 한다. - select문안에 넣어서 사용 가능! 2021. 7. 24.
[파이썬기초] 파이썬(Python) 프로그래밍 용어 정리② 오늘은 그동안 파이썬 프로그래밍의 기초적인 내용을 살펴보면서 나왔던 용어에 대해서 추가적으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. ▶ 변수 (variable) 변할 수 있는 수로 필요한 모든 자료형을 저장하는 공간을 의미합니다. - 할당 : 변수에 값을 저장하는 것을 할당이라고 합니다. - 참조 : 변수에 접근해서 그 안에 저장된 값을 꺼내오는 것을 의미합니다. ▶ 자료형 (data type) 자료의 형태를 말하며, 자료형에 따라 컴퓨터가 처리하는 방법이 달라집니다. - 파이썬의 자료형에는 숫자(정수형, 실수형), 문자열, 불(boolean)형이 있습니다. ▶ 함수 (function) 특정한 기능, 연산을 하는 명령어의 집합을 말합니다. - 매개변수 : 함수에서 특정한 연산을 하기 위해 사용되는 값, 인수를 전달받기 .. 2020. 3. 18.
[파이썬 기초] 파이썬(Python) 내장함수 ▶ 함수란? 여러 개의 명령어를 하나의 단위로 묶어 놓은 것을 의미합니다. 예를 들어 수학에서의 함수를 보면 f(x)= 4x+5 라는 함수식이 있다면 x에 특정값을 넣으면 4와 곱해진 뒤 5를 더하는 연산을 순서대로 하는 것처럼 파이썬에서도 특정 기능을 하는 명령어를 묶어둔 것을 우리는 함수라고 부릅니다. ▶ 함수를 사용하는 이유? 함수를 만들어서 사용한다면 같은 작업을 할 때 해당 함수만 호출하면 되므로 편하게 사용할 수가 있다는 점과 프로그램을 손쉽게 수정할 수 있다는 점이 있습니다. 일상생활에 있는 예를 들어서 세탁기 기능(물넣기- 세제 넣기-세탁하기-헹구기- 탈수)을 순서대로 묶어 함수라는 것으로 만들어 두었다면 함수라는 것을 호출할 때마다 세탁기 프로그램에 있는 순서대로 세탁기가 작동한다고 볼 .. 2020. 3. 11.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