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파이썬의 숫자 형태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< 숫자 자료형 >
-정수형(integer) : 소수점이 없는 숫자 예) 3, 50, 100
-실수형(float) : 소수점이 있는 숫자 예) 3.14, 5.2, 3.0
< 연산자 >
종류 | 연산 방향 | 연산자 | 기능 |
단항 연산자 | ← | +, - | 부호 |
산술 연산자 | → | + | 덧셈 |
→ | - | 뺄셈 | |
→ | * | 곱셈 | |
→ | ** | 거듭제곱 | |
→ | / | 나눗셈 | |
→ | // | 정수 나눗셈 | |
→ | % | 나머지 | |
비교 연산자 | → | < , <= | 작다, 작거나 같다 |
→ | > , >= | 크다, 크거나 같다 | |
→ | == | 같다 | |
→ | != | 같지 않다 | |
논리 연산자 | → | and | 논리곱(그리고) |
→ | or | 논리합(또는) | |
→ | not | 논리 부정 | |
대입 연산자 | ← | =, +=, *=, /=, *= | 대입 |
< 산술 연산자 >
- 사칙 연산자 (+, -, *, /)
수학의 사칙 연산자와 동일하며, 숫자의 연산을 하는 역할을 합니다.
print("5+10=", 5+10)
print("5-10=", 5-10)
print("5*10=", 5*10)
print("5/10=", 5/10)
- 정수 나누기 연산자 ( // )
숫자를 나누고 나서 소수점 이하의 자릿수를 떼고, 정수 부분만 남기는 정수 나누기 연산자입니다.
print("9/2=",9/2) # 나누기
print("9//2=",9//2) # 정수 나누기
-나머지 연산자 ( % )
나누었을 때 남은 나머지를 구하는 연산자입니다.
print("7%2=",7%2)
-제곱 연산자 (**)
수학에서의 제곱과 동일합니다. 2의 5승은 파이썬에서 2**5로 씁니다.
print("2**5=", 2**5) # 2의 5승
print("3**3=", 3**3) # 3의 3승
< 비교 연산자 >
- 두 피연산자를 비교하여 연산 결과가 참(True), 거짓(False)의 형태로 나타난다.
x, y = 17, 5
print("x > y is", x > y) # 참(True)
print("x < y is", x < y) # 거짓(False)
print("x >= y is", x >= y) # 참(True)
print("x <= y is", x <= y) # 거짓(False)
print("x == y is", x == y) # 거짓(False)
print("x != y is", x != y) # 참(True)
반응형
'프로그래밍 > 파이썬 프로그래밍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파이썬기초] 파이썬(Python) 변수 (0) | 2020.03.06 |
---|---|
[파이썬기초] 파이썬(Python) 논리연산자/대입연산자 (0) | 2020.03.06 |
[파이썬 기초] 파이썬(Python) 자료형 (0) | 2020.03.04 |
[파이썬 기초] 파이썬(Python) 거북이(turtle) 그래픽 모듈 (0) | 2020.03.03 |
[파이썬 기초] 파이썬(Python) 실행하기 -인터렉티브 쉘/IDLE창 (2) | 2020.03.02 |